기고

[발언대]‘삶의 정원'을 잘 가꿔가도록 돕는 교정기관

{wcms_writer_article}

한희도 영월교도소장

얼마 전 낯선 번호로 걸려온 전화 한통에 몇 번을 망설이다 수화기를 들었다. “안녕하세요? 저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수용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저를 인간적으로 지지하고 인정해 주셔서 큰 힘이 됐습니다. 늘 잊지 못하고 꼭 한번 연락을 드리고 싶었습니다”는 반가운 목소리가 수화기 너머로 들려왔다.

첫 마디에 누구인지 알 수 있었다. 출소 후 고향 강릉에 정착해 작은 가게를 운영하면서 열심히 살고 있다며 꼭 한번 만나고 싶다고 했다. 그 후 몇 번에 걸쳐 만남을 요청했지만 차일피일 미루다 올해가 가기 전 꼭 한번 강릉을 방문하겠다고 약속했다.

20여 년 전 강릉교도소 근무 당시 그는 지역에서 여러 사건들로 교도소를 수차례 드나들었으며 항상 분노에 찬 얼굴과 눈빛으로 사사건건 직원들과 부딪쳤다.

그를 바른 길로 인도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상담 담당자를 자처했다. 시간이 날 때면 찾아가 이야기를 했다. 한 참 후에 오히려 그가 나를 찾아 스스럼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근무자들과 마찰이 줄어들며 수용 생활에 적응한 것이 그때 쯤이 아닌가 싶다.

수용자들은 보통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이나 불화로 사랑과 인정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다. 학교 생활에서도 적응하지 못하고 절도 등 범죄행위로 교도소에 가게 된다.

더 큰 문제는 교도소에서도 반성과 순응이 아닌 저항적이고 반항적 태도로 일관하며 출소해서도 큰 범죄를 저지르는 등 최악의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범죄자들을 수용·관리하는 교정 공무원으로서 이런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정신·심리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그들에 대한 이해와 인간으로서의 인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교정 행정의 목표는 교정 시설에 수용된 이들을 교정 교화해 건전한 가정과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시키는 일이다. 어떤 이들은 수용자들이 스스로 반성하고 변해야 된다고 말하지만 필자는 진심 어린 마음과 따뜻한 언어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으로 그들을 변화 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30여 년의 근무 기간 동안 그 믿음으로 수용자들을 마주했고 현재까지 사회에 복귀한 많은 이들이 사회에 정착해 경제적 성공을 이루거나 종교인으로 거듭나 연락을 이어오는 것이 그 증거이지 않을까 싶다.

지난 1월 영월교도소에 부임해 ‘삶이란 자신만이 가꿀 수 있는 정원이다’를 주제로 매월 강연을 이어오고 있다. 한 송이 꽃이 차디찬 겨울을 견디어 꽃망울을 터뜨리듯 주어진 상황에서 모든 정성을 다해 충실히 생활하면 출소 후에 누구보다 더 잘 살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있다.

지난 10월 28일은 제79주년 교정의 날이었다. 교도소는 흉악한 범죄자들이 생활하고 과거 일제 강점기나 권위주의 시대의 나쁜 이미지와 드라마나 영화에서 비현실적인 허구의 장면의 영향으로 여전히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

분명한 것은 주민친화적인 새로운 건축 양식의 청사와 주민들에 대한 시설 개방과 교류, 1만6,000여명의 수준 높은 교정 공무원 등 교도소가 변화하고 있다.

출소 후 우리 이웃으로 돌아가 새롭게 살아가야 될 수용자들에게 각자의 ‘삶의 정원’을 잘 가꿔 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지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wcms_writer_article}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