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과 지역소멸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춘천과 원주를 제외한 도내 16개 시·군의 20~39세 청년 인구가 순유출됐다.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양양은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강원도내 194개 읍·면·동 중 154곳이 소멸 고위험지역이다.
지역소멸과 인구감소는 국가의 생존과 직결되지만 아직 마땅한 대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지역소멸이라는 개념과 단어는 2014년 일본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웃나라 일본은 대한민국보다 10년 빨리 초고령화와 이로 인한 지역소멸을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10여년 간 일본의 변화상과 대응은 우리에게 중요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창간 79주년을 맞은 강원일보는 강원특별자치도와 인구규모, 산업과 문화, 역사적 특성이 유사한 일본의 중소도시 7곳을 선정해 시사점과 정책 제언을 도출한다.
인구 41만명으로 일본 카가와현의 현청 소재지인 다카마쓰시는 구도심 중심부의 400년 이상된 전통시장을 세련된 쇼핑몰 형태로 재개발해 도시의 활력을 유지하고 인구감소를 억제하고 있다. 인구 47만명의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는 에도시대부터 이어져 온 옛 거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섬유산업으로 유명했던 역사를 바탕으로 청바지 거리를 조성해 관광도시로 성장했다.
대중교통을 활용, 도심에 인구를 밀집시킨 도야마시, 지역주민이 출자로 주식회사를 통해 도시를 설계하는 나가하마시, 일본에서 생산되는 안경의 96% 점유하고 있지만 값싼 중국산 공세에 안경산업을 항공, 메디컬 분야로 확대한 사바에시, 도-농 협력으로 연 27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군마현 가와바 마을기업 등의 사례를 소개한다. 강원일보 취재진의 일본 현지 취재를 통해 지난 10여년간의 지역소멸, 인구감소,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분석, 소개한다.
이 기사는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언론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아 취재하였습니다.